1. from string import ascii_lowercase
ascii_lowercase 알파벳을 원소로 가진 리스트나 set을 쉽게 만들 수 있음
-> list(ascii_lowercase) -> ['a', 'b', 'c', ... ,'x', 'y', 'z']
from string import ascii_lowercase
print(list(ascii_lowercase))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2. 집합 자료형 set으로 합집합, 차집합, 교집합을 쉽게 구할 수 있음 (!순서 보장 x)
-> a와 b의 합집합 = a | b
-> a와 b의 차집합 = a - b (or b - a)
-> a와 b의 교집합 = a & b
set1 = set(['a', 'b', 'c', 'd', 'e'])
set2 = set(['b', 'd', 'e', 'f', 'g'])
set3 = set("Hello")
#합집합
print(set1 | set2) #{'f', 'b', 'a', 'c', 'e', 'd', 'g'}
#차집합
print(set1 - set2) #{'a', 'c'}
print(set2 - set1) #{'f', 'g'}
#교집합
print(set1 & set2) #{'e', 'd', 'b'}
print(set3) #{'e', 'l', 'o', 'H'}
print(set3 & set2) #{'e'}
'코테 공부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비트단위 시프트 연산자 n<<숫자 (2의 숫자 제곱 곱) n>>숫자 (2의 -숫자 제곱 곱) (0) | 2023.06.02 |
---|---|
Python set (0) | 2023.06.02 |
Python 소인수분해 & n 이하 소수(에라토스테네의 체) (0) | 2023.05.31 |
Python 시퀀스 자료형 공통 기능 정리 (0) | 2023.05.31 |
Python tuple (0) | 202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