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IntelliJ IDE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애플리케이션에 Postman으로 HTTP 요청을 전송해서 기대했던 JSON 응답 결과를 확인하는 것 역시 테스트이다.
- 기능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이 올바르게 동작하는지를 테스트
일반적으로는 테스트 전문 부서(QA 부서) 또는 외부 QA 업체
기능 테스트의 경우 API 툴이나 데이터베이스까지 연관되어 있어서 HTTP 통신도 해야 되고, 데이터베이스 연결도 해야 되는 등 우리가 개발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대상이 많기 때문에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단위 테스트로 부르기는 힘듭니다.
- 통합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만든 개발자 또는 개발팀이 테스트의 주체가 되는 것이 일반적
클라이언트 측 툴 없이 개발자가 짜 놓은 테스트 코드를 실행시켜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개발자가 Controller의 API를 호출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 후 실행하면 서비스 계층과 데이터 액세스 계층을 거쳐 DB에 실제로 접속해서 기대했던 대로 동작을 하는지 테스트하는 것은 통합 테스트의 하나
통합 테스트 역시 애플리케이션의 여러 계층이 연관되어 있으며, DB까지 연결되어 있어서 독립적인 테스트가 가능하다고 볼 수는 없기 때문에 단위 테스트라고 하기에는 그 범위가 여전히 큰 편
- 슬라이스 테스트
슬라이스 테스트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 계층으로 쪼개어서 하는 테스트
API 계층, 서비스 계층, 데이터 액세스 계층이 각각 슬라이스 테스트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슬라이스 테스트 역시 해당 계층에서 HTTP 요청이 필요하고, 외부 서비스가 연동되기도 하며 특히나 데이터 액세스 계층의 경우 여전히 DB와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스 테스트는 단위 테스트보다는 말 그대로 계층별로 쪼개어 테스트한다는 의미의 슬라이스 테스트라고 부릅니다.
슬라이스 테스트의 경우, Mock(가짜) 객체를 사용해서 계층별로 끊어서 테스트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테스트 범위를 좁히는 것이 가능합니다.
슬라이스 테스트는 단위 테스트라고 부르기에는 단위가 큰 테스트이며,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만 테스트하기 때문에 부분 통합 테스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 단위 테스트(Unit Test)란?
일반적으로 여러분들이 직접 구현하는 핵심 로직 즉, 비즈니스 로직에서 사용하는 클래스들이 독립적으로 테스트하기 가장 좋은 대상이기 때문에 단위 테스트라고 부르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기능이 기대한 대로 빠르게 동작하는지 테스트해야 하기 위해서 단위 테스트 코드는 메서드 단위로 대부분 작성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통합 테스트나 슬라이스 테스트에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다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단위 테스트라고 부르기 어렵다기보다는 데이터베이스의 상태가 테스트 이 전과 이 후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면 데이터베이스가 연동된다고 해도 단위 테스트에 포함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단위 테스트는 최대한 독립적인 것이 좋고, 최대한 작은 단위인 것이 더 좋습니다.
더 작은 단위일수록 다른 연관된 기능들을 생각할 필요도 없고, 테스트 코드 짜기도 더 단순해지고 그만큼 빠르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
단위 테스트를 해야 되는 이유
HTTP 요청을 직접 보내는 테스트와 같은 번거로운 테스트 단순화
의도한 대로 동작하는지 그 결과를 빠르게 확인
작은 단위의 테스트로 미리미리 버그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의 덩치가 커진 상태에서 문제의 원인을 찾아내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은 시간 안에 문제를 찾아낼 가능성이 높음. 문제가 발생한 원인을 단계적으로 찾아가기가 용이
테스트 케이스(Test Case)란?
테스트 케이스란 테스트를 위한 입력 데이터, 실행 조건, 기대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명세를 의미하는데, 한마디로 메서드 등 하나의 단위를 테스트하기 위해 작성하는 테스트 코드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단위 테스트를 위한 F.I.R.S.T 원칙
무조건적으로 옳다고 볼 수는 없지만 상식 선에서 생각했을 때, 많은 개발자들이 단위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느낀 점들이 굉장히 잘 반영되어 있습니다.
- Fast(빠르게)
일반적으로 작성한 테스트 케이스는 빨라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자주 돌려야 문제를 빨리 찾을 텐데, 너무 느려서 돌리기 힘들다면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는 의미가 퇴색될 것
- Independent(독립적으로)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는 독립적이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할 때, 클래스 단위로 해당 클래스 내의 메서드 동작을 테스트 합니다.
메서드는 여러 개 존재할 가능성이 높을 테니 테스트 클래스 안에 테스트 케이스도 하나 이상이 될 것입니다.
이때, 어떤 테스트 케이스를 먼저 실행시켜도 실행되는 순서와 상관없이 정상적인 실행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 Repeatable(반복 가능하도록)
테스트 케이스는 어떤 환경에서도 반복해서 실행이 가능해야 된다는 의미입니다. IntelliJ 같은 여러분의 IDE에서 버튼을 눌러서 실행을 하든, Gradle 같은 빌드 태스크를 직접 입력해서 실행을 하든, 로컬 환경이나 서버 환경에서 실행하든 반복해서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외부 서비스나 외부 리소스가 연동되는 경우 앞에서 언급한 원칙들을 포함해서 동일한 테스트 결과 역시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위 테스트 시에는 외부의 서비스나 리소스의 연동을 끊어주는 것이 바람직
- Self-validating(셀프 검증이 되도록)
단위 테스트는 성공 또는 실패라는 자체 검증 결과를 보여주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테스트 케이스 스스로 결과가 옳은지 그른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 Timely(시기적절하게)
단위 테스트는 테스트하려는 기능 구현을 하기 직전에 작성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TDD(테스트 주도 개발) 개발 방식에서는 기능 구현 전에 실패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먼저 작성하는 방식을 취하지만 실제로 기능 구현도 하지 않았는데 테스트 케이스부터 먼저 작성한다는 게 쉽지 않은 부분
다만, 기능 구현을 먼저 한다 하더라도 너무 많은 구현 코드가 작성된 상태에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려면 오히려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들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을 단계적으로 조금씩 업그레이드하면서 그때그때 테스트 케이스 역시 단계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이 더 낫다
(Java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하기 위해서 JUnit은 사실상 표준 테스트 프레임워크)
단위 테스트를 제일 쉽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헬퍼(helper) 클래스 또는 유틸리티(utility) 클래스입니다.
✅ Given-When-Then 표현 스타일
BDD(Behavior Driven Development)라는 테스트 방식에서 사용하는 용어
- Given
- 테스트를 위한 준비 과정을 명시할 수 있습니다.
- 테스트에 필요한 전제 조건들이 포함된다고 보면 됩니다.
- 테스트 대상에 전달되는 입력 값(테스트 데이터) 역시 Given에 포함됩니다.
- When
- 테스트할 동작(대상)을 지정합니다.
- 단위 테스트에서는 일반적으로 메서드 호출을 통해 테스트를 진행하므로 한두 줄 정도로 작성이 끝나는 부분입니다.
- Then
- 테스트의 결과를 검증하는 영역입니다.
- 일반적으로 예상하는 값(expected)과 테스트 대상 메서드의 동작 수행 결과(actual) 값을 비교해서 기대한 대로 동작을 수행하는지 검증(Assertion)하는 코드들이 포함됩니다.
테스트 케이스의 결과가 반드시 참(true)이어야 한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표현한 것이 Assertion(어써션)인데, 한마디로 ‘예상하는 결과 값이 참(true)이길 바라는 것’
하나의 테스트 클래스에서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를 한꺼번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테스트 케이스를 한꺼번에 실행하고 순서를 바꿔서 사용하더라도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는 독립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테스트 케이스를 실행할 때마다 테스트 결과가 바뀌는 경우는 없습니다.
출처 : 코드스테이츠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gs In HTML (0) | 2023.07.05 |
---|---|
Spring MVC Testing JUnit Hamcrest (0) | 2023.05.24 |
자료구조 Graph traversal (0) | 2023.05.17 |
자료구조 Tree traversal (0) | 2023.05.17 |
자료구조 Graph (0) | 2023.05.05 |